본문 : 디모데후서 1:3-5

3 나는 밤낮으로 기도를 할 때에 끊임없이 그대를 기억하면서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나는 조상들을 본받아 깨끗한 양심으로 하나님을 섬깁니다.
4 나는 그대의 눈물을 기억하면서, 그대를 보기를 원합니다. 그대를 만나봄으로 나는 기쁨이 충만해지고 싶습니다.
5 나는 그대 속에 있는 거짓 없는 믿음을 기억합니다. 그 믿음은 먼저 그대의 외할머니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 속에 깃들여 있었는데, 그것이 그대 속에도 깃들여 있음을 나는 확신합니다.

———————————————————-

바울은 로마 감옥에서 사형 집행을 기다리며 디모데에게 유언과 같은 편지를 보냅니다. 디모데에게 1-2절에 자신은 하나님의 뜻 가운데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가 되는 놀라운 은혜와 사랑을 받은 자임을 말하며 디모데에게 그 하나님의 택하심과 부르심, 그리고 주신 은혜와 사랑을 깊이 깨달으라고 인사합니다.

놀라운 인사입니다. 죽음을 앞두고 있는 깊은 감옥에 갇혀 있는 상황 속에서 낙심하고 근심과 두려움으로 있어야 할 텐데 하나님께서 택하시고 부르신 그 뜻과 사명에 감격하며 그 사명을 감당하고 있는 디모데를 오히려 격려하고 힘을 북돋아 주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참된 믿음과 담대한 마음이 저와 여러분들의 신앙이 되기를 축원합니다.

오늘 본문 3-5절은 바울의 기도와 디모데를 생각하며 느끼는 감정을 숨김없이 표현하는 내용입니다. 바울의 기도가 3절에 나옵니다. “나는 밤낮으로 기도를 할 때에 끊임없이 그대를 기억하면서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바울은 감옥에 갇혀 있는 상황 속에서 놀랍게도 밤낮으로 기도하고 있었습니다. 인간적으로 볼 때 지금까지 열심히 복음을 전하는 삶을 살았는데 그 끝이 로마 지하 감옥에 갇혀 사형 선고를 받고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기에 내가 지금까지 복음을 위해 산 삶이 맞는 것인가? 내가 살아온 삶이 헛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 불평하고 따질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바울이 기도한 기도의 간구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빨리 이 감옥에서, 사형 받은 상황에서 구원해 달라는 간구가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놀랍게도 감사의 기도였다는 것입니다. 무엇에 대한 감사였습니까? “나는 밤낮으로 기도를 할 때에 끊임없이 그대를 기억하면서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라고 했습니다. 바울이 감옥에 갇혀 있는 상황에서 기도할 때 감사의 기도를 드릴 수 있었던 것은 기도할 때마다 디모데가 생각나고 그 디모데로 인하여 하나님께 감사가 나온다는 것입니다.

본문에서는 바울이 디모데에 어떤 부분으로 인해 감사한다는 내용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바울이 디모데를 생각할 때 감사의 기도를 끊임없이 드릴 수 있는 이유를 어렵지 않게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디모데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바로 알고 믿은 참된 신앙을 가진 자였고 그 복음의 사명에 자신과 함께 동참했고 지금도 여전히 자신이 복음을 전하여 세워진 에베소 교회에서 그 복음을 전하고 가르치는 사역을 충성되이 감당하고 있는 모습을 생각할 때 자랑스럽고 하나님께 감사한 마음으로 기도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 당시 복음을 위해 살아간다는 것은 힘든 일이었습니다. 교회의 목회자로 섬긴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칭찬과 인정과 존경을 받기보다 비난과 비판, 핍박의 대상이 되는 시대요 상황이었습니다. 더 나아가 목숨도 위험한 사역이었습니다.

그런데 디모데는 바울이 2차 선교 중에 처음 만나게 되었고 바울이 선교에 동참할 것을 권면했을 때 주저함 없이 자신의 편안함을 내려놓고 따랐고 그 후에 복음을 위해 바울을 따라 하라는대로 믿음으로 순종하는 모습을 보여 왔습니다. 그리고 바울이 세운 에베소 교회를 책임지고 목회하라고 했을 때 젊은 나이였고 건강도 좋지 않은 쉽지 않은 형편 속에서도 순종하여 자신의 뒤를 이어 복음을 전하고 가르치는 일에 힘을 다하고 있는 디모데를 생각하면 기도할 때마다 감사의 기도를 드리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입니다.

바울은 그러한 디모데를 보고 싶은 것입니다. 그렇기에 4절에 “나는 그대의 눈물을 기억하면서, 그대를 보기를 원합니다. 그대를 만나봄으로 나는 기쁨이 충만해지고 싶습니다” 라고 쓴 것입니다. 4절을 보면 사도바울이 디모데를 보고 싶어 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디모데의 눈물을 기억하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성경에는 디모데가 언제 바울에게 눈물을 보였는지를 쓰여 있지 않습니다. 아마도 디모데는 바울과 함께 복음을 전하는 사역을 할 때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영접하는 영혼들을 보면서 눈물을 흘렸을 것입니다. 또한 바울이 어려움을 당하는 모습을 보며 안타깝고 돕지 못해서 눈물을 흘렸을 것입니다.

사도행전 20장을 보면 바울이 3차 선교를 마치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갈 때 밀레도에서 에베소 교회 장로들을 오라고 해서 만나고 자신이 이번에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면 잡히고 죽을지 모른다는 말을 전할 때 장로들이 바울의 목을 끌어안고 입을 맞추며 울었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디모데도 그곳에 있었기에 바울을 생각하여 슬프게 눈물을 흘린 것을 기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디모데가 언제 눈물을 흘린 것을 바울이 기억했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바울이 본 디모데의 눈물은 먼저는 복음에 감격하여 흘린 눈물이었을 것이고 두 번째는 자신을 따르고 사랑하기 때문에 자신의 어려움과 힘듬을 걱정하여 흘린 눈물이었을 것입니다. 자신이 목숨을 다해 힘쓰고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복음에 한 마음이 되어 함께 고생하는 것을 마다하지 않고 그 수고함 속에 열매를 맺을 때 함께 울고 웃는 사람, 더 나아가 나를 생각하고, 위하고, 기도하며 눈물을 흘려주는 사람을 어찌 보고 싶지 않겠습니까?

이런 디모데를 묵상할 때 도전이 됩니다. 질문하게 됩니다. 나는 누군가에게 어떠한 사람인가? 생각나고, 보고 싶고, 나를 생각할 때 감사의 기도를 드리게 하는 사람인지 돌아보게 됩니다. 혹시 나를 생각하면 머리를 흔들게 되고, 할 수 있으면 함께 하고 싶지 않는 사람, 생각하기도 싫은 사람으로 살아가고 있지 않는가를 돌아보게 됩니다. 진정 복음을 만난 사람이라면,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과 은혜를 받은 사람이라면 디모데와 같은 사람이 되어야 마땅하지 않겠습니까? 바울에게 기도할 때마다 감사가 나오는 사람, 힘들고 어려울 때 보고 싶은 사람, 만나면 기쁨이 충만해지고 힘을 얻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디모데는 바울에게 그러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래서 4절을 보면 “나는 그대의 눈물을 기억하면서, 그대를 보기를 원합니다. 그대를 만나봄으로 나는 기쁨이 충만해지고 싶습니다” 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디모데는 바울에게 눈물을 기억하게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더 나아가 기쁨을 주는 사람이었다는 것입니다. 우리에게도 기쁨을 주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반면에 힘 빠지게 하고, 한숨짓게 하고, 힘들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디모데는 바울에게 기쁨이 되는 사람이었습니다. 함께 복음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는 사람, 하나님의 일에 함께 뛰어 갈 수 있는 사람, 하나님의 말씀으로 권면하면 순종하는 사람, 주님의 일을 자기 일보다 우선으로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런 사람이 기쁨이 되는 사람이 아니겠습니까? 반면에 자기 고집만 부리고, 자기 이익과 편함, 늘 변명하고, 주저하고, 주저 앉고, 조금마한 일에도 시험 들었다고 하고, 하나님의 일을 하려고 하면 밀어주는 것이 아닌 걸림돌이 되고 하지 못하게 하는 사람들을 생각하면 힘이 빠지고 우울해집니다.

하나님께서 다윗을 볼 때 “내 마음에 합한자다” 즉 “내 마음에 기쁨이 되는 자다” 라고 하시는 믿음의 사람, 순종의 사람, 하나님의 뜻을 위해 살아가는 사람들이 되시기를 축원합니다. 목사는 성도들을 생각할 때 기쁨이 되는 성도들, 성도들은 목사를 생각할 때 기쁨이 되고 자랑이 되는 목사가 되고, 성도들 서로 서로가 칭찬하고 인정하고 서로 보고 싶고 힘과 기쁨이 되는 그러한 관계와 교회가 되기를 기도하기 원합니다.

디모데가 바울에게 그러한 감사와 기쁨이 되고 보고 싶은 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다른 것이 아닌 거짓 없는 믿음의 사람이었기 때문입니다. 5절입니다. “나는 그대 속에 있는 거짓 없는 믿음을 기억합니다. 그 믿음은 먼저 그대의 외할머니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 속에 깃들여 있었는데, 그것이 그대 속에도 깃들여 있음을 나는 확신합니다” 디모데의 믿음과 신앙은 거짓 없는 믿음이었다는 것입니다. 돌려 말한다면 거짓 된 믿음, 즉 형식적이고 외식적인 믿음이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는 것 같고,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 같고, 구원 받은 것 같고, 하나님의 은혜를 안다고 하는 것 같지만 실제적인 삶에는 외식적이고, 독단적이고, 이기적이고 불순종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거짓 믿음의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디모데는 진정 하나님을 아는 믿음, 하나님을 사랑하는 믿음, 하나님의 우선의 믿음, 하나님의 뜻대로 순종하는 믿음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 믿음으로 살아간다면 그 누구나 디모데와 같이 하나님께 늘 감사할 수 있는 모습, 기쁨과 힘이 되는 삶을 살아가게 되지 않겠습니까?

저와 여러분들이 거짓 없는 믿음이 되기를 원합니다. 그 참된 하나님과 말씀과 복음을 믿는 믿음으로 참된 순종과 삶의 모습으로 누군가가 나를 생각하면 감사가 나오고 기쁨이 되는 성도들 누구보다 하나님께 칭찬과 기쁨이 되는 마음에 합한 자로 서기를 원합니다.

Category말씀 묵상
Follow us: